Python/Python기초 42

Python 탈출문자

\n은 프린트 구문 중간에 줄바꿈을 쓰기위해 사용 \은 특수문자를 그냥 문자로 인식시켜준다 \\을 사용할 때는 예를 들어 경로를 입력할때 그냥 문자열앞에 \하나만있으면 에러가나는데 \를 문자열로 인식시켜주기위해 앞에 \를 하나 더써서 문자열로 인식 시켜주는 것이다. \r은 \r뒤의 문장을 맨 앞에서부터 덮어쓰는것이다 \b는 \b전의 문장하나를 지우는것이다. \t는 중간에 탭 띄어쓰기를 하는것이다.

Python/Python기초 2021.08.11

Python 문자열 포맷

방법1 프린트문 중간에 %d, %s, %c를 쓰고 문장을 끝낸 후에 %쓰고 문장을 쓰면 출력할 때 값이 %뒤의 문자로 나온다. %d는 정수형, %s는 문자열 , %c는 캐릭터형이다. %s로쓰면 정수형과 캐릭터형까지 잘나온다. 방법2 프린트문 중간에 중괄호{}를 쓰고 문장이 끝난후 .format(x) 를 써주면 x가 중괄호 부분에 출력이 된다. 중괄호를 여러개쓰면 .format에도 앞에서부터 index가 생기는데 .format(x,y) x는 0번째 y는1번째가 된다. 중괄호안에 index번호를 쓰면 x,y를 원하는 곳에 쓸 수 있다. 방법3 .format안에 변수를 정해주고 중괄호안에 그 변수명을 넣어주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방법4 변수를 지정해주고 맨앞에 f를쓴다음 중괄호안에 변수를 입력해주면 직접..

Python/Python기초 2021.08.11

Python 문자열 처리 함수

python 이라는 변수에 문자열 "Python is Amazing" 을 넣어준 다음 실행해보았다. .lower()는 문자열 전체를 소문자로 바꿔준다. .upper()는 문자열 전체를 대문자로 바꿔준다. .isupper()는 대문자가 맞는지 True False로 반환해준다. len은 문자열의 길이를 알려준다. .replace(x,y)는 x를 찾아서 y로 바꿔준다. .index(x) 는 첫번째로 나오는 x의 위치를 알려준다 (0부터 시작 *x가 없으면 에러) .index(x,y)는 y번째부터 검색해서 나오는 x의 위치를 알려준다. (y번째부터 시작) .find(x)는 x의 위치를 알려준다. (*x가 없으면 -1을 반환) .count(x)는 x의 갯수를 알려준다.

Python/Python기초 2021.08.11

Python 슬라이싱

주민등록번호를 가지고 슬라이싱을 배워보았다. 슬라이싱은 변수에 대괄호를 붙여서 사용한다. 컴퓨터의 맨 첫번째 숫자는 항상 0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민번호의 맨 처음 순서는 0이다. 변수[x] 일때는 x번째 자리수를 출력해준다. 변수[x:y] 일때는 x부터 y직전까지 (y는 출력x ) 변수[ :y] 일때는 처음부터 y직전까지 변수[x: ] 일때는 x부터 끝까지 변수[-x: ] 일때는 맨뒤부터 -x까지 출력을 해준다.

Python/Python기초 2021.08.11

Python 랜덤함수

랜덤함수란 말 그대로 임의로 랜덤으로 출력되는 함수를 말한다. random함수를 사용하려면 from random import*을 해줘야만 한다. random()을 출력해보면 0.0이상 1.0미만의 값이 생성된다. 그때 무수히 많은 소수값을 출력하는데 소수값을 없애려면 앞에 int를 붙여주면 된다. randrange는 randrange(x,y) 에서 x이상 y미만의 값을 생성해준다. randint는 randint(x,y)에서 x이상 y이하의 값을 생성해준다.

Python/Python기초 2021.08.11